목록융합콘텐츠 (18)
밍경송의 E.B

게임을 바라보는 대표적인 두 입장 루돌로지와 내러톨로지에 대해 배워부자.. 암기! 암기 암기! 이 글은 2024-1 ㅇ화여대 게임학의이해 수업 자료를 참고했음을 밝힙니다. (게임에서 서사가 차지하는 위상의 차이에 따라) [루돌로지] : 게임의 매커니즘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 - 게임학은 서사학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주장 - 게임의 고유 본질 = 규칙 🎮테트리스 - 스토리와 게임의 구조적 차이를 밝혀내기 위한 형식주의적 접근 시도 곤잘로 프라스카 - 재현과 네러티브의 대안으로, 게임 = 시뮬레이션 but 재현(영화,드라마)의 경험 = 간접적, 시뮬레이션(게임)의 경험 = 직접적 - 시뮬레이션과 재현의 차별성 ='작동양태' ( 플레이어의 행동이 직접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) 에스펜 올셋 - 게임..

...겜알못이 게임학 수업을 듣게 된 이야기.. 왜냐?면.. ㅇㅠㅇ콘엔 더이상 들을 전공이 없음.. but 나는 졸업해야 함..^^! 그러니까 해야지..에 파티잉.... 게임 조아하는 칭구들부럽다 이 글은 2024-1 ㅇ화여대 게임학의이해 수업 자료를 참고했음을 밝힙니다. 🎮의미있는 놀이의 정의 설명적 정의 (학자들의 의견) 플레이어의 행동과 시스템상 결과 간의 관계에서 나타남. 모든 게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설명. 게임의 행동 -> 결과로 이어져 의미를 만들어내는 것. 평가적 정의 (디자이너, 개발자의 의견) 게임 내의 행동과 결과 간의 관계가 (플레이어의 입장에서) 식별성을 지니고 맥락에 통합될 때 생겨남. 게임 운영 방식보다는 성공적 게임 디자인의 목표 언급 *좋은 게임 = 1.과 2.의 의미..

국내 시장 동향 분석 - 현 시장 현황 1) 국내 차류 시장은 건강과 환경오염 문제가 되두될 때마다, 차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. : 코로나 이후,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+ 가정 내 체류 시간 증가 => 커피 대신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 증가(집에서 쉽게 마실 수 있는 액상차류가 인기!) 2) 기존의 침출차, 고형차 등은 우려내서 마시기 번거로움 -> 2022년 다류 시장은 액상차 시장의 성장이 가장 두드러짐. : 2021년은 과거 유행하던 헛개차와 옥수수차의 성장성은 점차 둔화된 반면 보리차, 홍차, 녹차 등 전통차음료의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함. (CU,2020년 8월 기준 20대~30대 고객 차음료 매출 전년 동기 대비 21% 상승) : COVID-19 이전 숙취에..

이 글은 시험이 약 10시간 남은 학부생이 중간고사 암기를 위해 적은 글입니다...........내용은 은혜 정 교수님의 강의자료를 참고하였음을 밝힙니다. 🪄 디지털 매체와 패러다임 - 디지털이라는 기술은 사회.문화적 패러다임(세상을 인지하는 일종의 사고과정)을 교체할 것 = 패러다임의 변화로 이어짐. 🪄디지털 패러다임의 4가지 특징 과정추론적 결과 아닌 과정을 중요시; 잘 만들어진 영화, 완성본 그 자체가 과거에는 중요했으나 현재는 비하인드/뒷이야기 등 제작 과정에 대한 궁금증이 커짐. + unpacking 영상 참여적 내가 선택. 무엇을 하는 것으로 어떠한 영향을 주고 싶다는 마음; 리모컨, 게임 버튼 누르기 행위가 이야기에 영향력을 미치나? but --에게 투표해주세요 등의 방송은 방송 전개과정에 ..
이 글은 시험이 약 11시간 남은 학부생이 중간고사 암기를 위해 적은 글입니다...........내용은 은혜 정 교수님의 강의자료를 참고하였음을 밝힙니다. 🪄집단 지성 : 웹 기술을 토대로 사람들이 연결되어 집단적으로 일을 수행하는 것 [윌리엄 모턴 휠러]의 개미나 벌의 생태 묘사를 위해 창시한 개념 + [피에르 레비]의 인터넷 환경에 적용하여 "어디에나 분포하며 지속적으로 가치 부여되고, 실시간으로 조정되며, 역량의 실제적 동원에 이르는 지성" *집단 지성과 공유된 지식의 차이 : 동일하게 가상 세계 내에 노출된 정보일지라도, 오프라인 신문기사를 웹으로 이동시킨 뉴스는 공유된 지식일 뿐. => 단일 텍스트를 창작 주체가 동시적, 비동시적으로 구성에 참여한 웹 사전 : 집단 지식 (여러명의 관여 필요) ..

이 글은 시험이 약 12시간 남은 학부생이 중간고사 암기를 위해 적은 글입니다...........내용은 은혜 정 교수님의 강의자료를 참고하였음을 밝힙니다. 🪄부캐 (부캐릭터) : 온라인 게임이나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원래 이용하던 캐릭터나, 계정 외의 새로운 캐릭터를 말하는 용어 -> 대중 문화의 영역에서 허구적 자아, 정체성을 만들면서 즐기는 방식으로 등장 *멀티버스처럼, 같지만 다른 캐릭터를 통해 WHAT IF 세계를 현실에서 재현 🪄브랜드와 캐릭터 : 브랜드를 대표하는 캐릭터는 브랜드의 핵심 가치, 정체성을 내재화하고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중요한 매개체 = 브랜드 이미지 생성, 브랜드 확장성에 큰 역할! ex) 카카오의 카카오프렌즈, 네이버의 라인프렌즈, 빙그레의 빙그레우스,, 등 🍯 캐릭..